반응형

HFP, HSP, A2DP, 그리고 AVRCP는 블루투스 프로파일로, 블루투스 장치 간의 특정 기능과 서비스가 어떻게 작동할지를 정의합니다. 각각의 프로파일은 블루투스 장치 간의 통신에 필요한 규칙과 방법을 지정합니다. 아래는 각 프로파일에 대한 설명입니다.

1. HFP (Hands-Free Profile)

  • 기능: 핸즈프리 장치와 휴대폰 간의 오디오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자동차의 블루투스 시스템, 무선 헤드셋 등을 통해 전화 통화를 할 때 사용됩니다.
  • 특징: 전화 걸기, 받기, 거절, 통화 종료 등의 기능을 지원하며, 배터리 상태 표시와 같은 추가 정보도 제공합니다.

2. HSP (Headset Profile)

  • 기능: 블루투스 헤드셋과 휴대폰 또는 컴퓨터 간의 기본적인 오디오 통신을 지원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 음성을 듣거나,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.
  • 특징: HSP는 전화 통화 시 기본적인 오디오 기능을 지원하며, HFP보다 더 단순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 HFP가 발전된 형태로 HSP의 상위 호환 프로파일로 간주됩니다.

3. A2DP (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)

  • 기능: 고품질 오디오 스트리밍을 블루투스 장치 간에 가능하게 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스마트폰에서 무선 스피커, 블루투스 이어폰,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으로 음악을 스트리밍할 때 사용됩니다.
  • 특징: 스테레오 오디오 전송을 지원하며, MP3, AAC, aptX, LDAC 등의 코덱을 통해 고음질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.

4. AVRCP (Audio/Video Remote Control Profile)

  • 기능: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블루투스 스피커나 헤드셋에서 재생, 일시 정지, 트랙 넘기기, 볼륨 조절 등의 기능을 제어할 때 사용됩니다.
  • 특징: A2DP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,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에서 재생 중인 음악이나 영상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.

요약

  • HFP: 핸즈프리 통화용 (예: 차량 내 통화).
  • HSP: 기본적인 헤드셋 통신용 (예: 통화용 블루투스 헤드셋).
  • A2DP: 고품질 오디오 스트리밍용 (예: 음악 스트리밍).
  • AVRCP: 오디오/비디오 재생 제어용 (예: 재생, 일시 정지, 트랙 넘기기).

이들 프로파일은 블루투스 장치가 서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. 각 프로파일이 특정 역할을 담당함으로써, 블루투스 장치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합니다.

이 외의 프로파일들..

이 프로파일들은 각각 다른 기능과 용도를 위해 설계되었으며, 여러 블루투스 장치 간의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. 여기 몇 가지 추가적인 프로파일을 소개합니다:

1. PBAP (Phone Book Access Profile)

  • 기능: 휴대전화의 연락처를 다른 블루투스 장치(예: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)에서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자동차의 블루투스 시스템을 통해 휴대폰의 연락처에 접근하여 전화 걸기.

2. MAP (Message Access Profile)

  • 기능: 문자 메시지(SMS) 및 이메일에 대한 접근과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차량 내 시스템에서 문자 메시지를 읽거나 답장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.

3. PAN (Personal Area Networking Profile)

  • 기능: 두 블루투스 장치 간에 IP 기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블루투스 테더링을 통해 모바일 데이터를 공유할 때 사용됩니다.

4. HID (Human Interface Device Profile)

  • 기능: 키보드, 마우스, 게임 컨트롤러 등의 입력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을 가능하게 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블루투스 키보드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.

5. SPP (Serial Port Profile)

  • 기능: 무선 시리얼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제공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구형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(예: GPS 장치와 PC 간 데이터 통신).

6. FTP (File Transfer Profile)

  • 기능: 블루투스 장치 간 파일 전송을 지원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블루투스 파일 전송을 통해 휴대폰 간 이미지나 문서를 공유할 때 사용.

7. GATT (Generic Attribute Profile)

  • 기능: 블루투스 저에너지(BLE) 장치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.
  • 사용 사례: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 간의 데이터 동기화.

8. SAP (SIM Access Profile)

  • 기능: 차량 내 블루투스 시스템이 휴대전화의 SIM 카드에 접근해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합니다.
  • 사용 사례: 휴대전화의 SIM 카드를 통해 차량에서 직접 통화나 메시징 서비스 이용.

9. OBEX (Object Exchange)

  • 기능: 블루투스 장치 간의 간단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파일.
  • 사용 사례: 명함이나 이미지와 같은 작은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.

이들 블루투스 프로파일들은 다양한 장치와 애플리케이션에서 블루투스의 기능을 확장하고, 특정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각각의 프로파일은 블루투스 장치가 특정 기능을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를 규정하며, 장치 간 호환성을 보장합니다.

반응형
반응형


라즈베리파이를 Linux, Apache, MySQL, PHP 를 설치하여 웹서버로 응용사용해 봅니다.


1. 라즈비안 이미지를 다운받습니다. Raspbian https://www.raspberrypi.org/downloads/

2. 이미지를 만들고 SD 카드를 준비합니다. Win32 Disk Imager 프로그램을 이용 합니다.

3. 준비된 SD 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끼운 후, 모니터, 키보드 그리고 인터넷 케이블을 연결 한 뒤 전원을 켭니다.

4. 제일 먼저 초기 설정이나오는데, 초기설정에서 

- 1. Expand Filesystem 을 설정하고

- 3. Enable Boot To Desktop 을 Disable 합니다.

- 4. 필요에 따라 Internationalisation Options 를 설정해줍니다.

- 7. Overclock 을 Modest 로 해줍니다.

- 8. Advanced Options 에 들어가서 SSH Server 설정을 Enable 해줍니다.

- 8. Advanced Options 에서 update Raspberry Pi 를 해줍니다.


5. 설정이 끝난 후 라즈베리파이를 리부팅 해줍니다.

sudo reboot


6. 리부팅이 끝난 후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를 확인합니다.

ifconfig


7. OS 업데이트를 해줍니다. 시간이 꽤 걸립니다.

sudo apt-get update

sudo apt-get upgrade


8. Apache 설치를 합니다.

sudo apt-get install apache2 php5 libapache2-mod-php5


질문이 나오면 y 를 눌러 진행을 계속합니다. 시간이 꽤 걸리는 작업입니다.

혹시 오류가 난다면, 아래 명령어 2개를 시도해봅니다. 오류가 나지 않고 설치가 끝나면 아파치 서버를 재시작 합니다.

sudo groupadd www-data

sudo usermod -g www-data www-data


아파치 서버를 재시작 합니다.

sudo service apache2 restart


이제 다른 컴퓨터에서 웹브라우저를 열고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를 적어봅니다. "It works!" 라는 화면이 보이면 성공.


9, MySQL 을 설치합니다.

sudo apt-get install mysql-server mysql-client php5-mysql


질문이 나오면 y 를 눌러 진행을 계속합니다. 설치중에 MySQL 의 root 계정 암호를 설정하라고 나오는데, 원하는 암호로 설정한뒤 설치를 완료합니다.


10. FTP 설치

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FTP 설치를 합니다. 먼저 web root 의 권한을 설정합니다.

sudo chown -R pi /var/www


vsftpd 를 설치합니다.

sudo apt-get install vsftpd


설치가 끝난 후 vsftpd 의 설정을 해줍니다.

sudo nano /etc/vsftpd.conf


- 1. anonymous_enable=YES 를 찾아 anonymous_enable=NO 로 설정

- 2. local_enable=YES 앞에 # 지워주기

- 3. write_enable=YES 앞에 # 지워주기

- 4. 맨아래에 내려가 force_dot_files=YES 적어주기

- 5. ctrl+X 를 누른 후 y 를 눌러 저장하며 나옵니다.


설정이 끝난 후 FTP 서비스를 재시작 해줍니다.

sudo service vsftpd restart


11. 마무리

암호 설정으로 마무리 해줍니다. ssh 연결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라우터에서 dmz 설정이 되어 있거나 하면 바로 라즈베리파이에 ssh 로 연결이 가능하므로,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라즈베리파이의 암호를 바꿔줍니다.


sudo passwd pi


그리고 root 의 암호도 바꿔줍니다. 두번째 명령어는 root 유저의 모드 변경 명령어입니다.


sudo passwd root

sudo usermod -L root


FTP 설정이 끝났습니다.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하여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
라즈베리파이에 LAMP 설정이 끝났습니다.





반응형

+ Recent posts